MACD는 이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것으로 MACD단어의 뜻 속에서 Moving,Average,Convergence,Divergence로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을 분석한 보조지표란 뜻이에요
이동평균선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평선에서 멀어지면 발산, 반대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가까워지려는 성질을 수렴구간이라고해요.
차트는 파동성을 띄기 때문에 이동평균선의 발산과 수렴은 반복해서 일어나게 되는거죠~
그 반복성을 이평선의 움직임으로 풀어낸 보조지표가 macd인거에요
이제 그럼 macd의 원리와 적용법을 알아야겠죠?^^

영웅문을 예로 들어보면 macd 보조지표 설정으로 들어가시면 이렇게 화면이 나오실거에요 short가 12로 설정되어있는것은 12일 이평선입니다 그럼 long 26은 26일 이평선이겠죠?
signal에 9는 macd 오실레이터의 9일 이동평균선이에요~
MACD를 구성하는 수식과 그에 따른 과열 침채 구간은 MACD=short-long입니다. 그럼 한마디로 12일 이동평균선 - 26일 이동평균선이 MACD의 값인거죠
그럼 과열과 침체구간을 알아볼건데 과열은 (MACD>0) 12일 이동평균선이 26일 이동평균선보다 높은 상태를 말하는거에요~
즉~ 단기적으로 상승한 상태라는거죠. 그렇다면 침채는(MACD<0) 12일 이동평균선이 26일 이동평균선보다 낮은 상태입니다. 즉, 단기적으로 하락한 상태라고 보는것인거에요
쉽게 차트로 보여드릴게요~

파랑선은 12일선,노랑선은 26일선입니다. 검은색 선은 12일 이동평균선과 26일 이동평균선이 만난 지점이에요. 모두 다 표시하지는 않았습니다만 MACD값이 0에 위치한것을 알 수 있죠?
MACD값이 0이라는 것은 (12일 이동평균선 - 26일 이동평균선)= 0 즉, 이동평균선의 위치가 바뀌는 지점으로 골든 혹은 데드 크로스가 생가는 지점이에요
골든크로스 지점은 12일 이평선이 26일 이평선을 뚫고 올라가는 빨간원에서 macd또한 음봉에서양봉으로 변하며 상승하는거죠
그렇다면 데드크로스 지점은 12일 이평선이 26일 이평선을 이탈하여 내려가는 라원원에서 macd는 양봉에서 음봉으로 변하며 하락하는거겠죠?
차트에 표시한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지점이 각자 저점과 고점 부근에 있음을 확인 할수있을거에요~
그래서 MACD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에서 매수와매도진입 시점을 잡고 매매를 하기도 합니다.
이제 macd 오실레이터를 황용해서 어떻게 매매하는지 알려드릴게요~
macd만 이용해서 매매를 하시면 살짝 아쉬운점이 있어요~
MACD의 신호에 맞춰서 매매를 하다보면 매수매도진입 타이밍이 늦는거죠~. 생각보다 지표의 반응속도가 느린 것입니다. 그래서 보안된 기능이 MACD 시그널과 MACD 오실레이터에요~

MACD 시그널은 MACD의 이동평균선으로 이동평균선 중의 이동평균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ACD 오실레이터는 MACD선과 MACD 시그널의 이격차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지표에요
MACD오실레이터는 그냥 MACD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자리를 알려주는거죠~

MACD 오실레이터 = MACD 선도 - MACD Signal
MACD오실레이터에서는 MACD와 시그널의 교차점이 0이에요
이 교차점은 MACD 선도보다 신호가 더 빠르게 나타나서 위 사진과 같이 매수와매도 시점이 더 빠르게 나타나죠~
MACD 오실레이터 또한 보조지표로써 사용되는 도구일뿐이에요~절대적인 지표는 없어요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며 MACD 오실레이터가 잘 적용되는지 분석은 필수에요~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봉음봉으로 진입점 찾기(해외선물 단타) (0) | 2022.06.17 |
---|---|
해외선물을 하는 거래자들의 실패심리 (0) | 2022.05.11 |
횡보와 추세장 (0) | 2022.04.27 |
(주식투자)정배열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4.26 |
투자할때 정보활용에 대하여 (0) | 2022.04.26 |
댓글